안녕하세요
연세 진정한 치과입니다.
구강 검진 시
매복 된 사랑니가 발견되었을 때
상황에 따라 발치를 권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매복치는 각종 합병증을
유발하기 때문인데요
구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,
실제 사례를 보며 같이
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
"한 쪽에 사랑니가 살짝 보이는 것 같아요."
구강검진을 받으러 내원 하셨던
20대 남자 환자입니다.
왼쪽 아래 턱을 확인해보니
매복 치아의 머리 부분이
드러나고 있었습니다.
엑스레이에서도
양쪽 아래 턱에 매복 사랑니가 관찰됩니다.
그런데 , 왼쪽 아래 턱 두 번째 큰 어금니
뿌리 흡수가 이러나 있었습니다.
자세히 보시면 사랑니가
인접한 어금니를 밀면서
뿌리를 흡수한 케이스였습니다.
이런경우 , 치아를 보존하기 위해 신경치료를
진행하거나 발치를 결정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"사랑니에 의해 이미 손상된 치아는, 사랑니 발치 전후로 정밀한 검사가 필요합니다."
우선 인접치를 보존 할 수 있는지,
확실한 판단을 위해
CT를 촬영했습니다.
CT상으로도 사랑니로 인해
인접 치아 치근 흡수로
명확히 판단됩니다.
그렇지만 이미 뿌리 흡수가
꽤 지행되고 있었기 떄문에
해당 어금니의 신경치료는 불가능한 상황이였는데요.
매복 치아의 발치 가능성이 높았지만
당원에서는 통증 등의 다른 증세가 없어서,
지켜보다가 우선 쓸 수 있을 때까지
쓰시면 된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.
저번 내원 시에도 별다른 증상이 없었기에
꾸준히 경과 관찰 중에 있습니다.
"이렇게 매복 치아로 나타나는 합병증은 어떤게있을까요?
가장 흔한 경우로
치아가 앞으로 기운 채
매복되었을 때
어금니 사이에 음식 찌꺼기가 끼기 쉽습니다.
이것은,훗날
치아 우식증 또는 잇몸 통증을
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
또는 사랑니가 후방으로 기울어
치은염을 유발하거나
치주농양 등의 부작용을
일으키는 상황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
내원하신 환자께서는
주기적인 구강 검진으로 상태를 확인하면서,
반대편에 매복 된 사랑니도
나중에 발치 하기로 하셨습니다.
누워있는 매복 치아의 경우에도
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의
다수 수술 경험으로
통증 없이 안전하게 발치 해 드리고 있습니다!
그래도 통증이 걱정되신다면
수면치료(의식하진정용법)를
시행하고 있으니
편하게 수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.
그러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~^^
치아 보존을 위해
늘 노력하는 연세진정한이 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 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