진료 칼럼

매복 사랑니 발치 _치아뿌리 흡수가 (root resorption) 나타나도 어금니 보존 가능할까?
  • 사랑니
  • 24-11-19 16:04



연세진정한치과 찾아오시는 길
▼▼▼
1732670023-94.jpg


연세진정한치과 카카오톡 문의하기
▼▼▼
1732670041-47.jpg





 

안녕하세요

연세 진정한 치과입니다.

 

 

구강 검진 시

매복 된 사랑니가 발견되었을 때

상황에 따라 발치를 권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
 

매복치는 각종 합병증을

유발하기 때문인데요

구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,

실제 사례를 보며 같이

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.

 

"한 쪽에 사랑니가 살짝 보이는 것 같아요."

1731999265-39.png
 

 

구강검진을 받으러 내원 하셨던 

20대 남자 환자입니다.

 

1731999335-39.png 

 

 

왼쪽 아래 턱을 확인해보니

매복 치아의 머리 부분이

드러나고 있었습니다.

 

1731999419-5.png
 

 

엑스레이에서도

양쪽 아래 턱에 매복 사랑니가 관찰됩니다.

 

1731999534-71.png
 

 

그런데 , 왼쪽 아래 턱 두 번째 큰 어금니

뿌리 흡수가 이러나 있었습니다.

 

1731999561-40.png
 

자세히 보시면 사랑니가

인접한 어금니를 밀면서

뿌리를 흡수한 케이스였습니다.

 

 

이런경우 , 치아를 보존하기 위해 신경치료

진행하거나 발치를 결정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
 

 

"사랑니에 의해 이미 손상된 치아는, 사랑니 발치 전후로 정밀한 검사가 필요합니다."

 

우선 인접치를 보존 할 수 있는지,

확실한 판단을 위해

CT를 촬영했습니다.

 

1731999629-28.png
 

 

CT상으로도 사랑니로 인해

인접 치아 치근 흡수로

명확히 판단됩니다.

 

그렇지만 이미 뿌리 흡수가

꽤 지행되고 있었기 떄문에

해당 어금니의 신경치료는 불가능한 상황이였는데요.

 

매복 치아의 발치 가능성이 높았지만

당원에서는 통증 등의 다른 증세가 없어서,

지켜보다가 우선 쓸 수 있을 때까지 

쓰시면 된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.

 

 

저번 내원 시에도 별다른 증상이 없었기에

꾸준히 경과 관찰 중에 있습니다.

 

 

 

"이렇게 매복 치아로 나타나는 합병증은 어떤게있을까요? 

가장 흔한 경우로

치아가 앞으로 기운 채

매복되었을 때

어금니 사이에 음식 찌꺼기가 끼기 쉽습니다.

 

이것은,훗날

치아 우식증 또는 잇몸 통증을 

유발하는 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또는 사랑니가 후방으로 기울어 

치은염을 유발하거나

치주농양 등의 부작용을 

일으키는 상황도 있어 주의가 필요합니다.

 

내원하신 환자께서는

주기적인 구강 검진으로 상태를 확인하면서,

반대편에 매복 된 사랑니도 

나중에 발치 하기로 하셨습니다.

 

누워있는 매복 치아의 경우에도

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의

다수 수술 경험으로

통증 없이 안전하게 발치 해 드리고 있습니다!

 

그래도 통증이 걱정되신다면 

수면치료(의식하진정용법)

시행하고 있으니 

편하게 수술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그러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~^^

 

치아 보존을 위해 

늘 노력하는 연세진정한이 되겠습니다.

감사합니다 .

 

 

 

 

연세진정한치과 찾아오시는 길
▼▼▼
1732670127-58.jpg

연세진정한치과 카카오톡 문의하기
▼▼▼

1732670152-8.jpg